
빅뱅 -
지금으로부터 150억 년 전쯤에 우주에서는 어마어마하게 큰 폭발이 일어났어요.
천문학자들은 이 '대폭발'을 빅뱅이라고 부른답니다.
빅뱅이 일어날 때 우주는 아주 뜨거웠어요.
시간이 지나면서 우주는 조금씩 식어 갔지요.
이때 우주에 수많은 작은 알갱이가 만들어졌어요.
은하-
수백만년동안 이 작은 알갱이들은 우주공간을 이리저리 떠다니다가 서로 부딪치곤 했어요.
그래서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먼지구름이 생겨났지요.
가스와 먼지로 이루어진 먼지구름은 뭉치면서 점점 뜨거워져 별이 되었어요.
이렇게 태어난 별이 많이 모인 것이 바로 은하예요.
별-
빅뱅이 일어난 뒤로 수많은 별이 은하 속에서 태어났어요.
이 별들도 언젠가는 엄청나게 많은 가스와 먼지를 내뿜으며 폭발해, 또 다른 별을 만들어 낼 거예요.
태양은 지금으로부터 46억 년 전쯤에 우리은하의 한구석에서 엄청나게 환하게 빛을 내면서 태어났어요.
태양계는 우리은하 안에 있어요.
행성-
태양이 먼지구름의 중심에서 생겨난 다음, 태양의 주위를 돌던 먼지들이 뭉쳐서 큰 덩어리가 되었어요. 그것이 바로 행성이랍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여덟개의 행성이 태양 주위를 돌게 되었어요.
그 가운데 하나가 지구랍니다.
다른 은하에도 어쩌면 지구와 비슷한 행성이 있을지도 몰라요.
태양 주위를 돌아요-
여덟개의 행성이 태양 주위를 돌고 있어요.
태양과 여덟 개의 행성을 모두 합쳐서 태양계라고 부르지요.
행성들은 서로 부딪치지 않고 태양 주위를 계속 돌아요.
행성이 도는 길이 서로 다르기 때분이지요.
어떤 행성은 태양 주위를 빠르게 돌고, 어떤 행성은 천천히 돌아요.
태양에 가까운 행성일수록 더 빨리 돌지요.
여덟개의 행성-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행성부터 차례대로 늘어놓았어요.
태양계의 행성들은 크기가 모두 달라요
태양 가까이에 있는 행성의 이름부터 읽어보면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완성, 해왕성이에요.
행성을 '떠돌이 별'이라고도 해요.
계속 움직이기떄문에 붙은 이름이지요.
고대 그리스 사람들이 행성이 움직이는 것을 처음으로 별견했어요.
태양계에서 가장 가까운행성은 수성이고, 가장 먼 행성은 해왕성이에요.
그리고 가장 큰 행성은 목성이고, 가장 작은 행성은 수성이지요.
태양-
태양은 엄천아게 큰 별이에요.
수십억 년 동안 쉬지 않고 폭발하고 있답니다
태양을 정면에서 뱌라보면, 강한 빛 때문에 눈을 다칠 수 있어요.
특히 쌍안경으로 보면 절대 안 돼요
선글라스를 끼고 바라봐도 눈을 다칠 수 있으니 조심하세요
태양을 보려면 유리조각을 촛불로 그을리세요.
그런 다음 그것을 눈앞에 대고 보면 된답니다.
태양은 아주 커요-
태양 한가운데에서 표면까지의 거리는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보다 두 배 정도 더 멀답니다.
그러니 태양이 얼마나 큰 별이겠어요?
지구에서 잘까지의 거리는 38만 4403킬로미터예요.
굉장히 먼 거리지요.
태양이 얼마나 큰지 한번 생각해 보세요.
태양을 가까이에서 살펴봐요-
태양의 표면은 쉬지 않고 계속 꿈틀거리면서 불을 뿜어내고 있어요.
마치 엄청나게 큰 귤껍질 같아요.
*홍염- 홍염은 태양 표면 위로 수만 킬로미터까지 솟아오르는 붉은 불길이에요.
커다란 불꽃이 치솟다가 다시 가라앉지요.
*흑점- 온도가 낮아 검은 얼룩처럼 보이는 부분을 흑점이라고 해요
*가스 불꽃- 뜨거워진 가스가 밖으로 나와 커다란 불꽃으로 폭발해요.
이런 폭발이 끊임없이 이어진답니다.
태양의 한가운데는 아주 뜨거워요. 1500만 도나 된다니, 상상이 되나요?
태양은 정말 엄청나게 뜨거움 불덩이지요.
태양도 사라져요-
태양은 지금으로부터 46 억년 전쯤에 태어났어요.
앞으로 50억 년 동안은 가스를 내뿜으며 불탈 거래요. 남은 가스를 다 태운 다음에는 사라지겠지요.
태양이 사라지기 전에 지금보다 훨씬 더 커질 거예요.
태양은 수성이 있는 곳까지 커졌다가 서서히 작아지면서 사라질 거랍니다.
아주 먼 미래에 태양이 점점 커져서 지구 가까이 다가오면, 지구의 온도는 엄청나게 올라가서 모든 것이 다 타 버릴 거예요.
그러면 사람들은 화성이나 다른 은하의 행성을 찾아 떠날 지도 몰라요.
블랙홀-
별이 사라질 때가 되면 별이 엄청나게 커진 다음 폭발해요.
폭발할 때 날아가지 않고 남은 중심부는 보이지 않는 힘에 끌어당겨져 아조 작아지다가 점점 사라져요
별이 작아지면서 사라질 때 별 한가운데에서는 신비로운 일이 일어나요.
아주 센 힘이 생겨 그 옆을 지나가는 우주선이나 로켓이나 돌, 심지어 빛까지 집어삼켜요. 이것을 블랙홀이라고 해요
행성들의 운동-
행성들은 태양 주위를 돌면서 축을 중심으로 스스로 뱅글뱅글 돌아요.
이것을 자전이라고 해요.
행성이 한 바퀴자전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그 행성의 하루예요
행성의 하루는 행성마다 달라요.
금성은 스스로 한바퀴 도는데 243일 걸리고 목성은 10시간 걸려요 행성들은 스스로 팽이처럼 뱅글뱅글 돌아요.
오로라-
남극지방에 사는 펭귄은 남극의 오로라인 아름다운 남극광을 볼 수 있지요.
그리고 북극 지방에 사는 이누이트 어린이는 북극의 오로라인 북극관을 보지요.
북극과 남극 지방의 밤하늘에 아름다운 빛으로 나타나는 오로라는 태양에서 날아온 먼지 때문에 만들어져요.
오로라는 여러 가지 모양으로 나타나요.
둥근모양도 있고, 구름모양도 있고, 줄무의 모양도 있어요.
태양과 지구-
살아있는 생명체가 지구에서 살 수 있는 이유는 태양과 물이 있기 때문이에요.
그러나 태양이 조금이라도 강해지거나 약해진다면, 모든 것이 지금과 달라질 거예요.
만약 태양열이 조금이라도 줄어든다면 지구 전체가 얼음으로 뒤덮일지도 몰라요.
그러면 도시나 시골 모두 꽁꽁 얼어붙겠지요.
반대로 태양열이 조금이라도 많아진다면,
남극과 북극의 얼음이 모두 녹아 물이 불어 날 거예요.
그러면 지구의 모든 바다와 강의 높이가 놀라가서 집이 물에 잠길 게예요.
'건강 상식 & 생활 습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과 우주탐사 (0) | 2025.03.20 |
---|---|
별과 은하 (0) | 2025.03.19 |
포도 한 송이가 혈관 건강을 지켜준다? 과학적 이유 공개! (0) | 2025.03.18 |
사과를 아침에 먹으면 좋은 이유, 진짜일까? (0) | 2025.03.18 |
딸기가 다이어트에 도움 된다고? 과학적 이유 공개!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