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인도
고대 인도 사람들은 강가에서 마을을 이루어 농사를 짓고 살았아요.
그들은 하라파와 모헨조다로라는 큰 도시를 세웠지요.
모헨조다로에 있는 건물들은 모두 벽돌로 만들었꼬, 군데군데 야자나무를 심어 뜨거운 햇빛을 막았어요
도시 안에는 목욕탕과 회의장과 곡식 창고가 있었고, 골목길옆에는 2층으로 된 집들이 죽 늘어서 있었어요
아리아 인
인도로 들어와 살게 된 아리아 인은 하는 일에 따라서 사람을 차별하는 카스트제도를 만들었어요.
다른 카스트끼리는 결혼도 할 수 없고, 밥도 같이 먹을 수 없었데요.
카스트는 네 가지로 나누어졌어요,
가장지위가 높은 브라만은 신을 모시는 승려 계층이에요.
브라만 다음인 크샤트리에는 왕과 귀족과 전사가 있었어요.
이들은 정치와 군사 일을 맡겼지요
바이샤는 농사를 짓거나 장사를 하거나 물건을 만드는 일을 했어요. 수드라는 카스트의 맨 아래계층이에요.
노예가 여기에 속했지요.
석가모니

석가모니의 원래 이름은 고타마 싯다르타예요. 인도 북쪽의 카필라 성에서 왕자로 태어났지요. 석가모니는 우리 마음속에 있는 욕심을 버리라고 가르쳤어요
싯다르타는 궁궐에서 맛있는 음식을 먹고 좋은 옷을 입었어요.
그러던 어느 날. 싯다르타는 사람들이 늙고, 병들고, 죽는 것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어요.
그래서 보리수나무 아래에서 사람이 왜 고통을 겪어야 하는지 깊이 생각했어요.
석가모니는 마침내 그 까닭을 깨달았아요. 사람들은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따랐어요.
여러 나라에서 불교를 받아들였어요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받드는 불교가 아시아의 여러 나라로 퍼져 나갔어요.
불교 전파와 함께 여러 지역 세워진 탑은 나라와 시대에 따라 모양이 조금씩 달라요.
인도의 아소카 왕 때 만든 산치 대탑은 꼭 밥그릇을 엎어 놓은 것 같아요.
중국에는 벽돌을 쌓아 만든 탑이 많아요.
돌을 깎아서 만들었지요.
미얀마에 있는 시웨다곤 탑은 세계에서 가장 큰 탑이랍니다.
중국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요?

옛날 중국 사람들은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고, 황제는 하늘의 뜻에 따라 나라를 다스린다고 생각했어요.
외국에서 온 사신은 황제 앞에서 예의 바르게 절을 했어요.
중국 사람들은 밥을 먹을 때 주로 젓가락을 썼어요.
배에다 집을 짓고 강 위를 떠다니면서 사는 사람들도 있었어요.
의사는 환자에게 침을 놓거나 약을 지어 줘 치료했답니다.
중국 최초의 황제
진나라의 시황제가 처음으로 중국을 통일했어요. 시황제는 지방에 관리를 보내고, 여러 지역에서 쓰는 글자와 화폐를 하나로 통일했어요.
시황제는 적의 침략을 막으려고 중국 북쪽에 엄청나게 긴 만리장성을 쌓게 했어요.
만리장성을 쌓는 일은 돌 하나에 한 사람이 죽었을 정도로 아주 힘든 공사였대요.
만리장성은 지금까지 세운 건축물 가운데 가장 깁니다
시황제의 무덤을 발견했어요.
무덤 옆에는 군사들의 모습을 새긴 조작상이 7000개 정도 묻혀 있었어요.
조각상은 표정이 모두 달라서 똑같은 것이 하나도 없답니다.
원래는 색이 칠해져 있었는데, 지금은 색이 남아있지 않아요.
공자
나라가 어지럽던 때에, 공자는 어진 마음으로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고 가르쳤어요.
공자의 가르침을 받는 유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여러 나라로 퍼져 나갔어요.
공자는 제자들과 함께 여러 나라의 왕을 찾아다녔어요.
공자는 세상이 올바르게 되려면 먼저 사람들이 마음을 깨끗이 해야 한다고 가르쳤어요.
유교에서는 조상과 부모를 정성껏 모시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어요.
왕을 존경하고 왕에게 충성을 다하는 것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지요.
비단과 종이
비단과 종이는 중국 사람들이 처음 만들었어요. 비단은 비단길을 통해, 종이를 만드는 기술은 아라비아 상인을 거쳐 유럽에 전해졌어요.
멀리 외국에서 온 상인들은 금이나 보석을 주고 중국의 비단을 사 갔어요. 중국 사람들만이 비단을 짜는 방법을 알고 있었대요.
비단은 누에고치에서 뽑아낸 실로 짠 옷감이랍니다. 누에고치는 누에가 누에나방이 되기 전에 사는 집이에요.
옛날 중국에서는 나무 조각이나 비단에 글씨를 썼어요. 그러다가 채륜이라는 사람이 삼의 껍질을 이용해 종이를 만들었어요.
사람들은 종이에 붓으로 중국의 글자인 한자를 썼어요.
고대 그리스

바다로 둘러싸인 그리스는 산이 많은 나라랍니다. 고대 그리스는 아테네, 스파르타 같은 여러 개의 도시 국가로 나누어져 있었어요. 도시 국가에는 자유민과 노예가 있었어요.
시장에는 자유민이 꾸려가는 가게들이 있었어요. 그림에 있는 여자는 도자기를 고르고 있어요.
도자기와 무기와 옷 같은 물건은 대부분 노예들이 만들었어요.
자유민은 '시민'이라고도 해요. 이들은 도시 한복판이나 항구 근처에 있는 넓은 광장에 모여 새로 만드는 법률에 대해 토론을 하기도 했어요.
아크로 폴리스
아테네 사람들은 도시가 내려다 보이고, 신전이 많이 있는 아크로 폴리스라는 언덕에 올라가곤 했어요.
신전 가운데 가장 큰 것은 파르테논 신전이에요. 파르테론 신전은 아테네를 지켜주는 아테네 여신에게 바친 것이랍니다. 사람들은 신전에 소와 염소를 제물로 바쳤어요.
그리스 사람들은 연극을 자주 공연했어요. 사람들은 자리에 앉아서 연극을 보았고, 배우들은 탈을 쓰고 무대에서 연기를 했어요.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요?
잘 사는 사람들은 뜰이 있는 크고 좋은 집에서 살았어요. 그렇지만 가난한 살마들은 방이 한 개나 두 개 있는 작은 벽돌집에서 살았대요.
여자 아이는 어려서부터 양털로 실을 만들고, 옷감을 짜는 법을 배웠어요.
남자아이는 키톤이라는 옷을 입고 허리에 끈을 맸어요.
사람들은 집에 제단을 만들어 두고 신에게 제물을 바쳤어요.
비누가 없어서, 아디들은 기름을 발라 문질러 몸을 닦았어요.
프레스코
그리스 사람들은 벽이나 천장에 작은 무늬를 그려 넣었어요.
그것을 '프레스코'라고 해요.
부자들은 자주 잔치를 벌였어요. 잔치에 모인 사람들은 긴 의자에 편안히 누워 음식을 먹었어요.
악기를 연주하거나 심부름을 하는 여자를 빼고는 여자들은 잔치에 참석하지 않았어요.
날씨가 추운 날 밖에 나갈 때에는 키톤 위에 히마티온이라는 긴 천을 걸쳤어요.
그리스 사람들은 맨발로 다니거나 샌들을 신었어요.
그리스 아이들은 무엇을 배웠을까요?
옛날 그리스에서는 부잣집의 남자아이만 학교에 갈 수 있었어요.
학교에서는 읽기, 쓰기, 셈, 음악, 체육을 배웠어요.
부잣집에는 아이를 학교까지 데려다주는 노예가 있었어요.
아이들은 읽기와 쓰기를 비롯해 리라라는 악기를 연주하는 법을 배웠어요.
도자기를 만드는 사람의 아들은 집에서 아버지의 일을 배웠어요.
체육을 가르치는 학교에서는 달리기, 높이뛰기, 레슬링 같은 운동을 가르쳤어요.
그리스의 신과 영웅
그리스 사람들은 올림포스 산에 살고 있다고 믿었어요.
사람들은 종교 행사나 운동 경기를 열어 신을 떠 받들었어요.
제우스는 모든 신의 왕이에요. 아테나는 전쟁과 지혜의 여신이고, 포세이돈은 바다의 신이지요. 아폴론은 해와 음악의 신이랍니다. 이밖에도 많은 신이 있어요.
제우스의 아들인 헤라클레스는 용감했어요. 그는 사나운 사자를 쓰러뜨리기도 했지요.
오디세우스는 바다에서 인어들의 노랫소리에 끌려가지 않으려고 돛대에 몸을 묶었어요.
미노타우로스의 미궁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미노타우로스는 황소 머리에 사람의 몸을 한 괴물이에요. 크레타의 왕 미노스는 들어가면 빠져나올 수 없게 만든 미궁 속에 미노타우로스를 가두었어요.
사람들은 해마다 젊은 남녀를 일곰 명씩 뽑아 미노타우로스에게 제물로 바쳤어요. 그러던 어느 날, 테세우스라는 젊은이가 제물로 뽑힌 사람들과 함께 미궁으로 들어가게 되었어요.
미노스의 왕의 딸이 테세우스에게 실뭉치를 주었어요. 테세우스는 미궁 속으로 들어가면서 실을 풀어 표시를 했지요. 미노타우로스를 죽인 테세우스는 실을 따라 미궁에서 빠져나왔대요.
고대 그리스의 선원들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배를 아주 잘 탔어요. 그들은 물건을 구하려고 먼 곳까지 배를 타고 갔어요. 해군은 해적에게서 뱃사람들을 지켜 주었어요.
군사들이 타는 배는 큰 돛을 달고 많은 사람들이 노를 저었어요. 위쪽 갑판에 서 있는 사람이 노 젓는 사람들을 지휘했지요.
뱃사람들은 도자기와 보석을 주고 산 포도주와 기름을 손잡이가 두 개 달린 항아리에 담아 왔어요. 배가 들어오면 장사하는 사람들이 항구로 나와 가게를 열었어요.
올림픽 경기
그리스 사람들은 올림포스 산에 사는 신들을 기리기 위해 4년마다 올림피아에서 운동 경기를 열었어요. 전쟁을 하던 도시 국가들도 이 기간에는 전쟁을 잠시 멈추었어요.
선수들은 제우 신이 자신들을 지켜 준다고 믿었어요.
달리기 선수는 사람들의 응원을 받으며 달렸어요.
투구를 쓰고 방패를 들고 달리는 경기도 있었어요.
멀리뛰기 선수는 금속이나 돌로 만든 무거운 추를 들고뛰었어요.
레슬링 선수는 상대 선수를 땅바닥에 넘어뜨려야 이길 수 있었어요.
이긴 선수에게는 월계수 잎으로 만든 관을 씌워 주었어요.
'건강 상식 & 생활 습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렌지를 저녁에 먹으면 안 되는 이유?! (0) | 2025.03.22 |
---|---|
세계역사 로마제국 유대민족 단군왕검과 고조선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 (0) | 2025.03.21 |
세계의 역사 (0) | 2025.03.20 |
달과 우주탐사 (0) | 2025.03.20 |
별과 은하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