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
선사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요?
지구에 처음 나타난 사라들은 동물을 사냥하고 물고기를 잡고 나무열매를 따먹으며 살았어요.
먹을 것이 없으면 다른 곳을 찾아 떠났지요.
남자들이 잡은 동물을 짊어지고 집으로 돌아왔어요,
집은 나무를 엮어 세우고 그 위에 동물이 가죽을 덮어 씌어 만들었어요.
끝을 뾰족하게 만든 긴 막대기로 물고기를 잡았어요.
사람들은 끝에 찌르개가 달린 창으로 동물을 사냥했어요.
선사시대사람들은 처음에는 동굴에서 살았아요.
그러다가 나중에 마을을 만들어 모여 사면서 농사를 짓고 가축을 길렀어요.
이웃마을과 서로 싸우기도 했어요.
싸움이 나면 이웃마을로 쳐들어가 짚을 엮어만든 지붕에 불을 붙인 화살을 쏘아 집을 불태웠어요.
글자를 만들었어요.
다른 사람에게 뜻을 전하려고 돌이나 흙판에 물체의 모양을 본떠 기호를 새겼어요.
글자는 이렇게 생겨났답니다.
물건을 파는 사람은 흙덩이에 갈대로 소머리 당나귀머리. 보리이삭을 그렸어요.
그리고 그 옆에 긴 막대기와 동그라미를 그려 숫자를 표시했어요.
무엇을 사고팔았는지 나타낸 거예요.
고대
고대이집트
고대이집트에서는 나라를 다스리는 왕을 파라오라고 했어요.
이집트는 땅이 기름져 농사가 잘되었꼬, 금과 여러 가지 보석이 많이 났어요.
이집트사람들은 파라오 앞에서 무릎을 꿇었어요.
농부들은 거둬들인 곡식가운데 일부를 파라오에게 바쳤답니다.
파라오는 전차를 타고 행진을 하기도 했어요.
행진을 함으로써 아주 강한 군대가 있다는 것을 이웃나라에 뽐내었어요.
피라미드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파라오를 신처럼 받들었어요.
왕이 죽으면 시체를 피라미드라는 아주 커다란 무덤 안에 두었어요.
잔치가 있는 남이면 이집트사람들은 돌에 신의 모습을 새긴 석상을 어깨에 메고 행진을 했어요.
또 신에게 제물을 바치고 ,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해 물었지요.
석상이 앞으로 기울어지면 '좋다' 대답이고, 뒤로 기울어지면 '나쁘다'는 대답이라고 생각했대요.
돌을 자르는 사람을 비롯해 수많은 일꿈이 모여 피라미드를 만들었어요.
아주 큰 피라미드를 만드는데만 30년 넘게 걸렸데요.
미라
고대 이집트사람들은 죽은 뒤에도 영혼은 다시 산다고 믿었어요.
그래서 죽은 사람이나 동물의 몸에 썩지 않게 처리해서 미라로 만들어 무덤에 넣었어요.
신전에서 제사를 맡은 사람이 자칼머리모양의 탈을 쓰고 미라를 만드는 일을 감독했어요.
죽은 사람의 몸을 감싸는 천속에 보석을 넣기도 했어요.
신전과 무덤에서 여러 동물의 미라를 많이 찾아냈어요.
이집트사람들은 동물이 죽은 주인을 따라간다고 믿었데요.
어린 파라오 투탕카멘
투탕카멘은 젊어서 죽었는데 죽은 지 3200년이 훨씬 지난 뒤에야 무덤이 발견됐어요.
무덤 속에는 가구와 보석이 가득 들어있었어요.
투탕카멘은 아홉 살에 파라오가 되었어요.
백성들은 그를 신처럼 섬겼어요.
투탕카멘은 신하들의 도움을 받아 나라를 다스렸어요.
화난 코브라 조각이 달린 왕관, 지취봉, 채찍 같은 파라오를 뜻하는 물건을 몸에 지니고 다녔어요.
투탕카멘의미라는 여러 개의 곁 쳐진 관의 한가운데에 들어있었어요.
그 관은 다시 돌로 만든 커다란 관에 들어있었지요.
미라의 얼굴들은 황금과 보석으로 만든 아름다운 가면이 씌어있었어요.
고대 이집트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벽을 흰색으로 칠하고, 문과창문을 작게 만들어서 여름을 시원하게 지냈데요.
아이들은 시원한 테라스에서 낮잠을 자거나 마당에서 공놀이를 하면서 지냈어요.
노예는 밖에서 음식을 만들고 가축을 돌보았지요.
노예가 거위요리와 과일을 주인에게 가져다줘. 주인은 음식을 먹으면서 탬버린 같은 악기연주에 맞춰 춤을을 추는 여자들을 구경했어요.
고대 이집트아이들이 하던 놀이는 지금 아이들이 하는 몰이와 비슷해요.
그때 가지고 놀았던 팽이, 장기의 말, 인형 같은 장난감은 흙을 구워서 만들었답니다.
나일강
고대이집트사람들은 대부분 강가에서 마을을 이루어 살았어요.
나일강은 세계에서 가장 긴 강이랍니다.
고대 이집트에는 동전이나 지폐가 없었어요.
그래서 사람들은 필요한 물건을 서로 바꿔 썼지요.
과자가 필요하면 장난감과 바꿨대요.
해마다 봄이 되면 비가 많이 와서 나일강의 강물이 넘쳤어요.
물이 빠지고 나면 나일강가는 농사짓기 좋은 기름진 땅으로 바뀌었어요
농부는 밀을 거둬들여 창고에 보관했어요.
밭에서 거 둔 채소는 바구니에 담아 당나귀등에 실어 날랐지요
강에서는 작살이나 그물을 던져 물고기를 잡았어요.
파피루스
귀족과 제사를 맡은 사람의 아들만 학교에서 글자를 배웠어요.
글자를 신성하게 여겼기 때문이에요.
글자는 파피루스라는 식물로 만든 종이에 썼어요.
필통에는 붉은색과 검은색잉크, 붓, 긁어서 글자를 지우는 칼 글자를 쓰는 석회암판을 미끄럽게 하는 도구를 넣었어요.
학생들은 석고를 입힌 석회암판에 글씨를 썼어요.
종이에 쓰기도 했는데 종이는 파파루스라는 식물로 만들었어요.
그래서 그 종이를 파피루스라고 한답니다.
'건강 상식 & 생활 습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역사 로마제국 유대민족 단군왕검과 고조선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시대 (0) | 2025.03.21 |
---|---|
고대 인도와 고대 중국 그리고 고대 그리스 역사 (0) | 2025.03.20 |
달과 우주탐사 (0) | 2025.03.20 |
별과 은하 (0) | 2025.03.19 |
우주 태양계 (0) | 2025.03.19 |